자동차 보험료는 보험사가 금융감독원에 신고한 [자동차보험요율서]에서 정한 방법으로 계산되며 운전자의 보험가입 경력, 교통법규 위반경력, 최근 3년간 교통사고 발생건수 등에 따라 보험료가 할인 또는 할증됩니다.


[관련 글]



  자동차 보험료 산정기준
①기본 보험료
②특약 요율
③특별 요율
④가입자 특성 요율
⑤우량할인&할증 요율
⑥사고 건수

  기본 보험료
차량의 종류, 배기량, 용도, 보험 가입금액, 운전자 성별, 운전자 연령 등 보험사에서 설정한 기본 보험료

  특약 요율
운전자 연령, 운전자 범위, 주행거리 등 특약에 가입할 때 적용되는 요율


  가입자 특성 요율
가입자 특성 요율은 가입자의 보험 가입경력 요율과 교통법규 위반경력 요율 합산한 것으로 보험가입기간이 길수록 보험료가 낮아지고, 교통법규위반 횟수가 많을 수록 보험료가 올라갑니다. 



[운전자의 보험 가입경력 요율] 

자동차보험 가입경력은 운전(가입)경력이 짧으면 사고위험도가 높아지고, 운전(가입)경력이 길면 사고위험도 낮아진다는 점을 감안하여 자동차 보험료를 차등 적용하는 것으로 가입경력 1년 미만의 운전자는 가입경력 3년 이상의 운전자보다 약 1. 5배 높은 보험료를 내야 합니다. 




[교통법규 위반경력 요율]

교통법규 위반경력은 운전자의 법규위반 사항을 보험료에 반영하는 것으로 과거 2년의 교통법규 위반경력이 없는 경우에는 보험료가 할인되고, 교통법규 위반경력있는 경우에는 보험료가 할증됩니다. 



[교통법규 위반내용]

할증요율 - 30%

①무면허 운전
②음주운전 2회
③사고 발생시 조치의무 위반



할증요율 - 20%

①음주운전 1회
②신호위반
③차선위반
④속도위반 4회 이상



할증요율 - 15%

①신호위반
②차선위반
③속도위반 2회 ~ 3회



할증요율 - 10%

①범점이 있는 교통법규 위반

  우량할인&할증 요율
보험기간 중 발생한 사고실적(등급)에 따라 적용되는 요율로 사고실적이 없는 경우에는 보험료를 할인되고, 사고실적이 많은 경우에는 보험료가 할증됩니다.


  사고 건수 요율
지난 3년 동안 발생한 사고 건수에 따라 적용되는 요율로 지난 3년 동안 발생한 사고가 1건 이하라면 보험료의 최대 11%까지 할인받을 수 있고, 지난 3년 동안 발생한 사고가 2건 이상이라면 보험료의 최대 60%까지 할증될 수 있습니다.

  자동차 보험료 할증계산
자동차 보험료는 보험사가 금융감독원에 신고한 [자동차보험요율서]에서 정한 방법으로 계산합니다. 다만 자동차보험료 계산에 관한 세부사항은 각 보험사 별로 일부 차이가 있습니다. 



[자동차 보험료 계산공식]

기본 보험료 * 특약 요율 * 가입자 특성 요율 * 특약 요율 * 우량 할인•불량 할증 요율 * 사고 건수 별 특성 요율



[자동차 보험료 계산방법]

다음과 같은 경력을 가진 운전자가 자동차보험에 가입하면 약 ₩500,000원 정도의 자동차 보험료를 예상할 수 있습니다. 

①자동차보험 가입경력 : 3년 이상 
②교통법규 위반경력 : 없음
③최근 3년 사고건수 : 무사고
④우량할인&할증 등급 : 15Z
⑤기본 보험료 : 100만 


  •  기본 보험료 : 100만 원
  •  가입자 특성 요율 : 93. 5% (a * b)

     - (a) 자동차보험 가입경력 요율 : 100% (3년 이상)
     - (b) 교통법규 위반경력 요율 : 95. 3% (위반경력 없음)

  •  우량 할인&불량 할증 요율 : 59. 2% (15Z 등급)
  •  사고건수별 특별 요율 : 88. 7% (최근 3년간 무사고)

  •  예상 자동차 보험료 : 약 ₩500,000원